2015. 12. 8. 11:19

[직업알기]경기인력개발원이 소개하는 캐드원




캐드(CAD)를 아시나요?


캐드는 컴퓨터 지원설계(Computer Aided Design)의 약어인데요. 컴퓨터에 기억되어 있는 설계정보를 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로 추출하여 화면을 보면서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곡면이 혼합된 복잡한 형상의 입체도 비교적 간단히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답니다. 이런 캐드를 자유자재로 다루며 설계나 디자인 관련 산업에서 활약하는 사람들을 바로 캐드원이라고 부른답니다.


캐드원이 하는 일


캐드원은 활동 분야에 따라 건축캐드원, 토목캐드원, 기계캐드원, 전기·전자캐드원 등으로 나뉘는데요. 건축캐드원은 건축설계사무소에서 건물이나 구조물의 도면을 제도하는 일을 하며, 토목캐드원은 엔지니어링회사에서 철도, 도로, 항만 등의 설계도면을 제도합니다. 또한 기계캐드원은 기계엔지니어링업체 등에서 각종 기계도면을 제도하고, 전기·전자캐드원은 전기 및 전자 기재의 장비에 대한 시공도 등을 작성하는 일을 한답니다.

다양한 분야에 따라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기계, 전기 등 해당 분야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요즘에는 제도업무뿐 아니라 설계나 디자인 업무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캐드원의 근무환경


캐드원이 하는 작업의 특성상 중도에 그만두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을 한번 시작하면 초과근무나 밤샘근무를 하는 일이 잦으며, 특히 중소업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수의 캐드원이 활동하고 있어 업무량이 많은 편입니다. 또한 장시간 컴퓨터를 다루고 세밀한 수치작업과 조작을 하기 때문에 눈과 어깨 등에 피로를 쉽게 느낄 수 있고 실수 없이 작업을 완성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도 있겠네요.


캐드원에 맞는 적성 및 흥미


캐드원은 기본적으로 세세한 수치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꼼꼼함과 세밀함이 요구됩니다. 또한 도면설계를 위한 기술설계 능력과 창의력이 필요하며, 분야에 따라 건설 및 건축, 디자인 등에 관한 지식도 갖춘다면 더 좋겠죠?




캐드원이 되는 길


캐드원이 되기 위해서는 제도에 대한 지식과 CAD, 3D-Max,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 기술이 필요하므로 이와 관련된 교육을 이수하는 것이 좋답니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건축학과, 기계공학과, 의상학과 등 설계·디자인이 필요한 학과에는 대부분 컴퓨터 제도와 관련한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문계 고등학교의 기계 관련 학과 등을 졸업한 뒤 업계로 진출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직업전문학교나 사설 교육기관에서 기계제도, 건축제도, 인테리어제도 등으로 세분된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경기인력개발원에도 자동화시스템 학과를 개설하여 자동화시스템 장치설계를 위해 2D, 3D CAD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실습 하고 자동화자치의 유공압 회로 설계실습, PLC(HMI)제어실습,  전기전자실습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한번 방문해 보세요!


경기인력개발원 자동화시스템학과 바로가기

(https://kg.korchamhrd.net/information/majorInformation.do?rootMenuId=470&menuId=472&cms_id=14)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12. 7. 12:21

[경원직업전문학교] 구직자가 알아두어야 할 금기사항!



 항간에 소문이나 주변의 이야기에 현혹되어 취업 성공과 멀어지는 행동을 하는 구직자들이 있는데요. 이들이 꼭 봐야할 꿀팁으로, 최근 각종 온라인 취업포털의 팁들을 모아모아~ ‘하반기 취업 성공을 위한 구직자의 금기사항’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거짓말 좀 하면 어때?

 솔직함보다 거짓이라도 기업이 원하는 답변을 하는 것이 평가에 유리하다는 생각에 면접에서 거짓말을 하는 구직자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지원자들을 만나본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표정만 봐도 거짓말인지 알아채기 마련이고, 그렇지 않더라도 추가 질문 등을 통해 사실을 밝혀내곤 합니다. 실제 한 인사담당자는 “자신이 잘하는 것과 개선해야 할 것을 묻는다면, 억지로 대답을 꾸며내기보다 이런 점은 부족하지만 이런 점에서는 낫다고 생각한다며 솔직하게 답변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습니다.



한 곳만 걸려라 문어발식 묻지마 지원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어디든 한 군데만 합격하자라는 마음으로 여기저기 지원하는 묻지마 지원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 및 직무에 대한 조사나 준비 없이 지원하는 경우 애사심이 낮은 만큼 이탈 가능성도 높습니다. 이에 기업에서는 정말 우리 회사에 들어오고 싶어하는지를 서류, 면접전형을 통해 꼼꼼히 따지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어, 묻지마 지원은 합격률을 떨어트리는 것은 물론 잦은 탈락으로 자신감까지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기업의 채용방식이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이 중요합니다. 즉, 목표로 하는 기업이나 업계를 선택한 후 해당 기업의 자격 조건 및 전형에 맞춰 맞춤형 전략을 펼쳐야 취업 성공 확률이 높아 집니다.




튀어야 산다?

 면접을 보면서 다른 경쟁자보다 튀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는 구직자들이 많은데요. 비슷한 조건, 상황에서는 인사담당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겨야 조금이라도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화려하고 튀는 복장이나 무례한 말투, 과한 이벤트, 경쟁사에 대한 맹목적인 비난 등은 오히려 역효과가 내기마련.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나만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인사담당자의 눈에는 띄되, 지나치게 튀지 않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한 번 떨어진 곳은 포기?

 목표했던 기업에 다시 지원할 경우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두려워 지원을 포기하는 구직자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조사에 따르면, 재지원자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49.7%로 부정적이라는 응답(30.9%)보다 높게 나온 만큼, 원하는 기업이라면 적극적으로 도전해 보길바랍니다. 단, 지원하기 전에 다시 지원한 이유, 지난번 탈락 이유에 대한 생각, 그리고 지난번과 비교해 개선된 점 등에 대한 철저한 답변을 준비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죠?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